본문 바로가기
사업보고서

AP위성(211270) 사업보고서(통신장비 회사)

by 알쏭달쏭정치 2018. 7. 4.

목차

    AP위성(211270)은 통신장비 회사로, 명칭은 '에이피위성 주식회사'라고 칭하고, 영문으로는 'Asia Pacific Satellite Inc.' 이라고 표기합니다.


    2011년 02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주요 목적사업은 '인공위성 및 인공위성 관련부품, 위성통신단말기의 개발 및 제조'입니다.


    위성통신단말기의 개발 및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의 정관상 목적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초고속 인터넷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제조업

    2. 위성 초고속 멀티미디어 양방향 단말기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3. 위성 초고속 멀티미디어 양방향 통신서비스업
    4. 통신장비의 개발, 제작, 판매, 임대 및 서비스업
    5. 인공위성 및 인공위성 관련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
    6. 전자, 전기, 통신, 기계 제품 및 그 부품의 제작, 판매, 임대 및 서비스업
    7. 소프트웨어, 정보, 음반, 비디오, 영화의 개발, 제작 및 판매 및 서비스업
    8. 방송채널 사용업
    9. 주파수를  할당받아 제공하는 역무에 해당하는 위성통신서비스 기간통신사업
    10. 부동산 취득, 매각, 임대 및 관련업무
    11. 각호에 관련된 무역업 및 무역알선업
    12. 각호에 관련된 연구 및 개발업
    13. 연구소 운영업
    14. 전 각호에 부대되는 사업


    그럼 본격적으로 통신장비 회사 AP위성의 사업보고서를 들여다 보도록 할까요?


    주식하는 사람들이 확인해야 할 회사 공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보고서입니다. 사업보고서는 그 회사의 모든 것이 담겨 있을 정도로 많은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AP위성

    이라는 회사가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무엇을 만들어 얼마에 판매하고, 얼마의 이윤을 남기는지, 대표이사 연봉은 얼마이고 직원들은 몇명인지까지 적혀있는 것이 사업보고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사업보고서는 반드시 확인하시고 투자에 적극 활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출처 :  AP위성 ,전자공시 다트]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1)위성통신 단말기 사업부문


    당사의 주요 제품은 위성통신단말기이며, 주요 고객은 UAE 두바이 소재의 이동위성통신사업자인 THURAYA Telecommunication Company(이하 ‘THURAYA’)로 THURAYA는 2대의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해 유럽, 아프리카, 중동, 호주 지역 및 한국과 일본을 포함하는 아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이동위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이동위성통신 서비스


    이동위성통신은 개인의 휴대와 고속 이동 중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발전하여 내부 배터리를 사용하며, 휴대가 가능한 크기와 무게를 보장할 수 있도록 안테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파의 감쇠가 작은 L(1 ~ 2 GHz) 또는 S(2 ~ 4 GHz) 대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C, Ku 및 Ka 대역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의 L 또는 S 대역을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가능한 많은 수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로 음성 및 1 Mbps 이하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동위성통신 서비스에는 사업자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업자의 판단에 따라 정지궤도 위성망 또는 저궤도 위성망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동위성통신단말기는 휴대 및 고속 이동 중에도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합니다. 휴대폰 형태의 단말기인 위성휴대폰(HANDHELD), M2M(Machine to Machine) 및 협대역(NARROWBAND) 단말기는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고속 이동 중에도 음성통신 및 저속(low data rate)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광대역(BROADBAND)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에 맞추어 인공위성의 자동추적이 가능한 별도의 선박용 및 자동차 전용의 트래킹(tracking) 안테나를 부착하는 경우 이동하는 선박 및 자동차에서도 고속(high data rate)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합니다.


    현재 상용 이동위성통신 사업자로는 GlobalStar(미국), Inmarsat(영국), Iridium(미국), ORBCOMM(미국), THURAYA(UAE) 등의 글로벌 사업자와 Ligado Networks(구상호:LightSquared)(미국), NTT Docomo WideStar(일본) 와 같은 지역 사업자가 있습니다. 이들 중 M2M(Machine to Machine) 서비스를 위한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는 ORBCOMM을 제외하고는 모두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이동위성통신용 단말기


    이동위성통신용 단말기는 ⓐ고속 이동 중에도 음성통신 및 저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휴대는 가능하나 이동 후 정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고속 데이터통신 위주의 단말기로 구분됩니다. 


    전자인 ⓐ형 단말기의 경우 휴대폰 형태의 위성휴대폰(satellite phone)과 물류 및 선박, 차량의 위치추적 및 현황파악이 가능하며, 오일, 가스, 수자원, 전기 등의 상태파악 및 분배를 위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의 인프라 구축에 활용 가능한 M2M(Machine to Machine)이 있습니다.


    후자인 ⓑ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형과 단말기의 움직에 맞추어 인공위성의 자동추적이 가능한 별도의 선박용 및 차량 전용의 트래킹(tracking) 안테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거치형이 있습니다. 휴대형 및 거치형 단말기는 제공하는 데이터 속도에 따라 다시 저속의 협대역 단말기(NARROWBAND) 와 고속의 광대역 단말기(BROADBAND)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동위성통신용 단말기의 분류]


    구분

     기능

     

    위성휴대폰


    (HAND HELD TERMINAL)

     - 위성안테나로 인해 일반 휴대폰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무겁지만, 휴대 및 고속 이동 중에 음성 및 100kbps 이하의 저속 데이터 통신 지원


    - 다양한 사용자 접속 기능(MMI, Man Machine Interface)을 지원하여 일반 휴대폰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 가능.


    - 인공위성 기술의 발달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테나 (intenna)의 사용 등 기능이 향상되면서도 소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M2M

     - 컨테이너,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주요 자산에 설치되어 자산 추적에 활용


    - 오일, 가스, 전력 시스템의 원격 측정 또는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에 활용


    - M2M 단말은 일반적으로 초저속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단말기에 비해 저렴함. 

     

    협대역 단말기


    (NARROWBAND)

     - 128 kbps 이하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


    - BROADBAND 이전에 개발되어 지금까지 쓰이는 단말기로 위성휴대폰 및 BROADBAND로의 대체로 인해 시장이 축소되고 있음. 

     

    광대역 단말기


    (BROADBAND)

     - 노트북 크기의 단말기로 1Mbps 이하의 데이터 전송속도 제공. 


    - 전자 메일, Web 액세스 및 표준 인터넷 서핑뿐만 아니라 실시간 스트리밍 등 고급 최종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이용 가능.

     

    (3) 이동위성통신단말기 시장



    가. 이동위성통신단말기 판매추이


    Euroconsult가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이동위성통신단말기 판매량은 3,018,777대였으며, 향후 연간 8.4%(CAGR) 성장해 2020년에는 판매량 4,896,116대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시장별로 성장률을 살펴보면, 지상시장의 성장률은 연간 9.1%로 이동위성통신단말기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며, 항공시장은 연간 3.6%, 해양시장은 연간 1.4%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시장 분류별 이동위성통신 단말기 판매량 추이]


    (단위 : 대) 

    구분

     2012

     2013

     2014

     2015E

     2016F

     2017F

     2018F

     2019F

     2020F

     

    해양

     306,008

     302,072

     300,835

     305,368

     309,096

     313,651

     316,708

     321,856

     326,756

     

    지상

     2,222,433

     2,442,336

     2,676,617

     2,934,738

     3,223,088

     3,519,625

     3,840,430

     4,163,867

     4,518,274

     

    항공

     39,414

     40,001

     41,326

     43,184

     45,096

     46,686

     48,277

     49,819

     51,086

     

    합계

     2,567,854

     2,784,410

     3,018,777

     3,283,290

     3,577,280

     3,879,962

     4,205,415

     4,535,542

     4,896,116


    자료 : Euroconsult 2015,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s Markets Survey



    제품별 이동위성통신단말기 판매추이에서는 M2M이 2014년 기준 2,082,182대로 전체 판매량의 69.0%를 기록했고, 2020년에는 판매량 3,827,551대로 연간 8.7% 성장하며 전체 판매량의 78.2%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Euroconsult는 광대역 단말기(BROADBAND) 역시 연간 7.6%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위성휴대폰은 2.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반면, 협대역 단말기(NARROWBAND)의 경우 성장률  -2.5%로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나. 위성휴대폰 시장규모


    위성휴대폰 시장규모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자료는 없습니다. 하지만 Euroconsult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위성휴대폰은 저가형은 약 $500, 고가형은 $1,500에 이릅니다. 당사의 매출자료를 살펴보면 저가형과 고가형 보다는 중가형 제품의 수요가 많으므로 위성휴대폰 단위당 가격을 1,000달러로 가정해 위성휴대폰 시장규모를 산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대)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F

     2017F

     2018F

     2019F

     2020F

     

    판매량

     562,862

     589,793

     606,534

     624,602

     643,209

     662,373

     675,621

     688,995

     702,635

     

    가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환율(원/$)

     1,126.88

     1,095.04

     1,053.22

     1,100.00

     1,100.00

     1,100.00

     1,100.00

     1,100.00

     1,100.00

     

    시장규모(억원)

     6,343

     6,458

     6,388

     6,871

     7,075

     7,286

     7,432

     7,579

     7,729

     


    주. 과거 환율은 연평균환율을 적용하고 2015년 이후의 환율은 1,100원으로 가정


    (4) 경쟁상황


    가.경쟁형태


    국내에서 위성통신단말기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당사와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2사가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Hughes, Motorola, Honeywell, Qualcomm, Celestica 등 약 20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위성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인 Baseband Modem SOC(System on a chip) 기술과 위성통신 프로토콜 스택 기술을 위성휴대폰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업은 당사를 비롯해 소수에 불과해 실질적인 과점시장입니다. 


    특히 위성휴대폰의 경우 이동위성통신기술의 집약체로 초기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의 부담과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규모로 인해 특정 이동위성통신사업자와 그 이동위성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위성의 접속규격에 최적화된 핵심반도체와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 기술을 보유한 위성휴대폰 제조업체 상호간의 실질적으로 쌍방독점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고객인 THURAYA 역시 위성휴대폰은 2003년 10월 THURAYA 2세대 위성휴대폰 개발/생산/공급 계약 이래 현재까지 당사로부터만 공급받고 있습니다.



    나.진입장벽


    (가) 위성통신 관련 기술


    위성통신단말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주상에 떠있는 위성까지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신호를 고속으로 변환하는 위성통신 변복조부 알고리즘 설계/검증 기술, 하나의 Chip에 위성통신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위성통신 Baseband Modem 반도체 설계/검증 기술, 그리고 위성과 단말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프로토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핵심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위성통신사업자의 위성통신에 최적화된 Customizing 기술 역시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위성통신 관련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일반 지상 휴대폰은 Qualcomm 등의 대형반도체 기업이 핵심반도체와 이동통신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를 모두 제공해 주고 있지만, 위성휴대폰 시장은 규모가 작아 위성휴대폰에 적합한 상용 핵심반도체는 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휴대폰 시장은 핵심반도체인 Baseband Modem SOC와 프로토콜 스택 기술을 확보한 기업만이 진입할 수 있는,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사업분야 입니다. 


    (나) 개발기간 및 투자비용


    새로운 위성이 발사될 경우 그 위성에 적합한 위성통신단말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Baseband Modem SOC,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기구/금형, RF 회로 등 위성휴대폰 개발에 필수적인 핵심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필수 개발인력과 개발기술을 보유하여야 하고, 이후 2년 이상의 개발기간과 최소 200억원 이상의 개발비용이 소요되며, 기술 개발과 관련된 비용은 위성통신사업자가 부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통신사업자가 거액의 비용과 장기간의 개발기간을 소요하면서까지 새로운 단말기 공급업체를 선정할 이유가 없습니다.


    (다) 폐쇄적인 시장구조


    이동위성통신용 단말기 시장은 이동위성통신사업자 별로 독자적인 비공개 접속규격(Air Interface Standards)을 적용하고 있어 이동위성통신사간의 단말기 호환이 어렵고, 이동위성통신사업자와의 상호 계약 없이 신규 이동위성통신용 단말기 제조사가 진입하기 어려운 폐쇄적 시장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5) 회사의 경쟁력


    가. 기술력 


    위성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은 Baseband Modem SOC(System on a chip) 기술과 위성통신 프로토콜 스택 기술이며, 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소수입니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기술과 이를 활용한 경쟁력 있는 위성휴대폰을 개발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은 당사를 비롯해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당사는 2003년 10월 THURAYA 와 2세대 단말기 개발, 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3년 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Baseband Modem ASIC 및 GMR-1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 정지궤도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미약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저잡음 RF 송수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기술 등 위성휴대폰 핵심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이후 정부출연연구과제를 통해 2010년 TETRA/TEDS 용 Baseband Modem SOC과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2011년에 GMR-1 및 TETRA/TEDS 겸용 Baseband Modem SOC(모델명 GEMINI) 를 개발에 성공하고 GEMINI SOC를 당사가 생산하고 있는 모든 위성휴대폰(XT, SatSleeve, XT-LITE, XT-PRO)과 TETRA/TEDS 모뎀에 탑재하여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2003년 THURAYA의 1세대 위성휴대폰을 공급하던 Hughes와의 경쟁을 통해 당사가 THURAYA 2세대 사업을 수주해 위성휴대폰 모델들을 현재까지 단독으로 공급하고 있다는 것은 당사의 기술력이 세계적인 위성산업 기업인 에 뒤지지 않는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개발 과정을 통해 “지상휴대전화기에 탑재되는 위성통신장치 및 방법(특허 제10-0673406호)” 등 다수의 핵심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위성통신 관련 기술에서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으며, 여타의 단말기 제조기업들이 넘볼 수 없는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THURAYA의 2세대 위성통신단말기인 당사의 위성휴대폰은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07년 산업자원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었으며, 2009년에는 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장영실상을 수상해 당사의 이동위성통신단말기 관련 기술력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 가격경쟁력


    2006년 THURAYA 2세대 위성휴대폰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납품한 이후 현재까지 당사가 THURAYA 위성휴대폰을 단독으로 공급해 올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 중의 하나는 상기 언급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에 더해 위성휴대폰의 공급가격이었습니다. 당사가 위성휴대폰을 공급하기 이전에 THURAYA에 위성휴대폰을 공급한 Hughes의 경우 단말기의 가격이 600달러 수준이었습니다. 반면 당사가 THURAYA에 공급한 위성휴대폰의 가격은 모델별로 차이는 있지만 300~500달러 수준으로 기존의 벤더가 공급한 가격의 50~70% 였습니다.


    현재의 위성휴대폰 가격도 300~50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기술력 있는 미국 소재 대기업의 비용구조를 고려해 볼 때 월등한 가격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펼쳐질 멕시코 시장이나 유럽시장에서의 경쟁에서도 뛰어난 기술력과 함께 가격경쟁력 측면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 진입장벽 


    THURAYA는 지금까지 3기의 정지위성을 발사했습니다. 하지만 1호 위성의 경우 위성체 결함으로 인해 위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고, 1호 위성 발사 직후 새로 발사된 2호 위성이 중동, 유럽, 아프리카를, 2008년에 발사된 3호 위성이 아시아 지역을 커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2호 위성에 대한 위성휴대폰을 2006년부터 THURAYA에 공급한 이래 10년간 단독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2호 위성의 2세대 위성휴대폰은 음성통화만 가능했던 Hughes의 1세대 위성휴대폰과 달리 Packet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했으며, 동 기술은 당사가 개발해 보유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2호 위성에 대해 위성휴대폰을 단독으로 공급해 오던 당사는 THURAYA의 3호 위성에 대한 위성휴대폰 개발을 의뢰받아 개발했으며, 이에 따라 3호 위성에 대한 GMR-1 Customizing 기술은 당사만이 보유하고 있어, 타 단말기 제조기업들이 진입할 수 없는 상황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한편 THURAYA는 2020년 수명이 종료되는 2호 위성을 대체해 중동, 유럽, 아프리카를 커버할 4호 위성을 쏘아 올릴 계획에 있습니다. 신규 위성인 4호 위성은 IP기반의 새로운 통신기준인 GMR-1/3G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 4호 위성의 GMR-1/3G기술은 아시아지역을 커버하는 3호 위성의 GMR-1 기술과 호환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는 이동통신에서 LTE가 적용되는 지역을 이탈할 경우 자동으로 3G로 넘어가는 것과 동일한 이치입니다. THURAYA 3호 위성에 대한 원천 기술은 당사만이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THURAYA가 타 단말기 제조기업에 3호 위성과 4호 위성 간에 호환이 가능한 단말위성 개발을 의뢰할 경우 신규 위성인 4호 위성에 필요한 GMR-1 3G 핵심기술 뿐만 아니라 3호 위성과 통신이 가능한 GMR-1 핵심기술 개발까지 의뢰해야 하며, 이 경우 추가적으로 막대한 개발비를 부담해야 합니다. 당사는 앞에서 여러 차례 언급한 바와 같이 2014년 멕시코 MEXSAT 사업에서 Hughes, Honeywell, Elektrobit 등과 함께 GMR-1 3G 규격의 단말기 공급업체로 선정이 되었으며, 당사만이 2종의 단말기와 함께 유일하게 핵심 반도체(GMR-1 3G Chipset Supply Package) 공급업체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THURAYA가 필요로 하는 GMR-1 3G 와 GMR-1 핵심기술을 모두 보유할 수 있게 되어 THURAYA가 당사를 THURAYA 4호 위성의 단말기 사업자로 선정하는 경우 GMR-1 3G 핵심기술 개발비의 상당부분을 절약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THURAYA 역시 이러한 사실을 파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이 독점적 공급구조에서 비롯된 당사와 THURAYA와의 관계와 당사의 MEXSAT 사업수주로 인해 신규로 발사될 THURAYA 4호 위성에 대한 단말기 역시 당사가 단독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위성제조 부문


    (1)  위성 산업의 현황


    가.   위성산업


    위성산업시장은 아래 표와 같이 일반적으로 위성통신/방송 등의 위성서비스분야, 위성 및 부품제작 등의 위성제작분야, 발사서비스 및 발사체제작 등의 발사산업분야 및 지상네트워크 및 통신방송장비 등을 포함하는 지상장비분야로 나누어진다. 


    [위성산업 분류표]


    이미지: 위성산업 분류표 

    위성산업 분류표

     

    일반적으로 우주에 떠 있는 위성만이 인공위성시스템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인공위성 한 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주변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 위성 시스템의 구성은 실제 우주에 떠서 위성을 구성하고 있는 위성체, 이러한 위성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관제를 수행하는 지상국, 이러한 위성을 목적한 임무궤도까지 올려주는 발사체 등으로 나누어 집니다.



    위성시스템은 실제 인공위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본체와 탑재체로 구성되며, 본체는 실질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탑재체를 지원하는 몇몇의 서브시스템과 부품으로 구성됩니다. 위성체를 구성 요소별로 분할하는 것은 공학상의 편의를 위해 필요하며, 설계와 제작이 조직적으로 관리되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탑재체는 통신방송, 지구관측, 기상, 항행 및 측위, 우주과학 연구 등과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위성본체시스템은 초기 발사에서부터 임무수행의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무 탑재체나 장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기계적인 지지를 해주는 구조시스템, 요구되는 궤도 및 자세를 유지 및 제어해 주는 자세제어시스템, 극단적인 온도변화를 보여주는 우주에서 시스템과 부품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열을 적절히 제어해 주는 열제어시스템, 궤도 및 자세를 제어해 주는 추진시스템, 적절한 전력을 공급해 주는 전력시스템, 그리고 지상국과의 명령 및 정보 교환 등이 서로 적절히 수행되도록 하여 탑재체가 목표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지상국시스템은 우주에 위치하는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는 지구표면에 있는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지상국은 대개 안테나, 전력증폭기, 저소음수신기, 그리고 감시 및 시험을 수행하는 기지라 할 수 있습니다. 지상국에는 인공위성을 원격으로 통제하거나 추적하는 장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발사체시스템은 위성을 목적하는 궤도까지 올려 주는 운반체이기 때문에 궤도진입을 위한 최소요구속도를 얻는 것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가장 적당한 발사체는 위성체 질량이나 전체임무 소요비용과 같은 여러 요소에 의하여 선정됩니다


    나. 국가우주개발사업


    미래창조과학부에서 2013.11에 발표한 우주개발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독자적 우주개발능력강화를 통한 국가위상 제고 및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i)정부 R&D 예산대비 우주예산 비중 지속확대, ii)한국형발사체개발을 통한 자력발사능력 확보, iii)민간참여 확대를 통한 인공위성의 지속적 개발 iv)선진국 수준의 우주개발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표1과 같이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분야별 세부목표를 발표하고 그림1과 같이 우주개발사업의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표1]


    이미지: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분야별 세부목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분야별 세부목표

     

    [그림1]


    이미지: 제3차-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로드맵 

    제3차-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로드맵

     

    [출처-공공누리에 따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공공저작물 이용]


    다. 시장규모


    2016년 전 세계 우주시장 규모는 전년(3,353억 달러)대비 1% 성장한 3,391억 달러였다. 세부분야별로는 위성서비스 분야가 1,277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지상장비 1,134억 달러, 위성체 제작 139억 달러, 발사체 55억 달러, 그리고 우주탐사, 과학연구 등의 비위성 산업분야가 786억 달러 순 이었다.


    이미지: 2016년도 전세계 우주산업 분야별 규모 

    2016년도 전세계 우주산업 분야별 규모


    [출처: State of The Satellite Industry Report, 2017]


    전 세계 위성산업은 2007년 1,220억 달러에서 2016년 2,605억 달러로 지난 10년간 약 2배의 성장을 이루었으며 2015년에 비해서도 2%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 세계 경제성장률(3.1%) 보다는 낮지만 미국의 경제성장률(1.6%) 보다는 높은 수준이며 최근 몇 년간 그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지난5년간 전 세계 위성산업 매출액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44%로 여전히 미국이 시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미지: 그림_최근 10년간 전세계 위성산업 성장추이_2017 

    그림_최근 10년간 전세계 위성산업 성장추이_2017

     

    [출처: State of the Satellite Industry Report, 2017]


    ① 위성체 제작 분야


    2016년 전 세계 위성체 제작 분야의 시장 규모는 139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2015년의 160억 달러에 비해 21억 달러(13%) 감소한 수치로 2010년 이후 지속되던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의 원인은 위성 발사횟수가 전년보다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유럽의 신규 발사 위성의 수가 9기에서 1기로 줄어 10억 달러가 감소하였고 미국 및 유럽 외 국가의 위성 발사 대수 또한 14기 감소하여 14억 달러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 위성체 시장에서 통신위성관련 수익비중은 22%로 전년(42%)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한 반면 군용 정찰위성의 경우 전년(36%)보다 상승하여 44%를 차지하였으며 다수의 위성이 발사된 큐브셋(CubeSats)위성의 경우 전체 수익에 1% 미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러한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전체 위성체 제작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대비 5% 증가한 64%로 이는 미국 자체의 수익이 늘은 결과라기보다는 미국이외 국가들의 약세에서 비롯된 것이며 실질적으로 미국의 관련 수익은 상업(민간)부문에서 7%로 증가하였으나 정부지출 부문에서 9%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5%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미국 위성체 시장의 주요 수익원은 정부발주 물량으로 전체 위성체 제작 수익의 74%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출처: State of the Satellite Industry Report, 2017]


    ② 지상장비 분야

    지상장비 분야는 네트워크 장비, 위성항법(GNSS) 장치, 위성 TV 및 라디오 등의 비위성항법(Non-GNSS) 장치로 구분되며 전년대비 7% 성장한 1,13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세부분야별로는 위성항법 분야가 전체 74.6%인 846억 달러를 기록,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비 위성항법 분야가 185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16.3%를 차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장비 분야가 전체의 9.1%인 10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전년대비 세부분야별 성장추이를 살펴보면 위성항법 분야가 8% 상승하였고 비 위성항법 분야는 일부시장에서 위성TV 단말기의 판매가 저조하였으나 이를 광대역 단말기(Broadband) 및 일부 모바일 장비의 판매 호조로 만회하여 1%의 성장을 이루었으며 네트워크 장비 분야 역시 관리형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로 인해 7% 상승하였다.[출처: State of the Satellite Industry Report, 2017]


    (2) 당사 현황


    당사는 수년 간 다목적 실용위성사업으로 대표되는 국가우주개발사업에 참여하여, 위성 본체 체계 개발, 위성 탑재체 국산화 개발, 위성시험용 EGSE 국산화 개발, 위성 AIT 등 다양한 우주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우주항공분야에서 선진기술의 국산화와 기술혁신에 끊임없이 도전하여, 국가 우주항공 개발 사업에 기여하고, 전자, 자동차, 조선 등과 같이 우주항공분야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산업분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가. 위성제조산업


    (가) 시장의 특성


      ① 기술집약적 시스템 종합산업


    위성제조산업은 다양한 분야(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재료공학 등)의 첨단기술이 집약된 시스템 종합산업으로 ‘제조업의 꽃’으로 비유되기도 합니다. 시스템구현을 위한 부품의 수가 다양하고, 부품들의 공급원이 모든 산업에 걸쳐있는 대규모 시스템 산업으로 높은 기술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항공기 산업의 기술적 파급효과는 자동차 산업의 3배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있습니다. 


     ② 연구개발 집약형 산업


    집중적인 연구개발비용과 최고급 연구인력이 투입되어 기술개발이 추진되는 최첨단 연구개발 집약형 산업입니다. 우주산업의 핵심요소기술은 극한 환경에서도 운영될 수 있도록, 동시대 최고수준의 기술 성능을 요구합니다. 산업특성상 인적자원의 암묵적 지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뿐만 아니라 관리도 중요합니다. 


     ③ 투자위험도가 높은 산업


    위성제조산업은 다양한 첨단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이 큰 반면, 기술적, 사업적 실패가능성이 높아 위험부담이 큰 모험산업입니다. 초기시장을 선점한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높고, 고객 또한 정부 및 소수의 기업으로 제한되어 있는 쌍방독과점 시장특성을 지닌 산업으로 후발주자의 진입에 한계가 존재합니다. 제품의 표준화가 힘들고, 대부분 수요자 니즈에 따라 맞춤형 제품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장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④ 정부개입이 많은 산업


    위성제조산업은 1, 2, 3차 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재적 성격의 기간산업으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습니다. 위성제조산업은 국가안보차원에서 중요 역할을 할 수 있는 핵심산업으로써, 생산 및 기술능력의 해외 종속을 피하기 위해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산업은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분야로 정부의 장기 투자 등 정부 의존성이 큰 산업입니다.



    (나)경쟁상황


    국내 위성산업은 연구소 중심의 우주개발 추진으로 민간참여가 활발히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선진국 대비 우주개발 예산 투자규모 및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위성은 본체와 탑재체로 구성됩니다. 본체의 경우는 이전 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국산화 개발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었으나, 탑재체의 경우는 해외 전문업체의 제품을 도입하였기 때문에 국산화 수준이 낮은 실정입니다. 


    국내 위성제조업체는 업체별로 위성 서브시스템을 분할하여 개발하고 있어, 위성체계분야를 제외하고는 제품별 실질적인 경쟁이 없는 상황입니다. 우주용 고속/대용량 자료처리장치의 경우 우주 기술 자립화를 위해 정부에서 국산화를 추진하는 핵심장비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기술 안정화 단계까지는 국내 사업에서 해외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다) 회사의 경쟁력


    기 수주한 다목적실용위성6호 탑재체 데이터링크 및 위성체 전기지상지원장비(EGSE)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 차세대중형위성1호/2호 표준탑재컴퓨터 개발사업을 수주한 이후에, 다목적실용위성 7호의 탑재체 기기자료처리장치와 달탐사 시험용 궤도선 본체 전장품 설계 및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리고 그 동안 국가우주개발사업 참여를 통해 확보한 전문적 기술과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군정찰위성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입니다. 또한 우주품질 경영시스템(AS9100) 인증 및 우주용 제품 제작을 위한 작업자 인증(ESA Cert.)을 계속 유지 및 확대하고 우주급 제작공정을 구축함으로써 사업 가능분야를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 ( 진행중 포함)

     

    제 품 명

     개발(완료)예정일

     비 고¹

     



    소형 성능검증위성 개발 2020.12.31 소형위성체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 시험용 궤도선

    본체 전장품 2018.12.31 달탐사 시험용 궤도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7 탑재체 

    기기자료처리장치 2021.12.31 다목적실용위성 7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6 DLS

     2019.11.30

     다목적실용위성6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6 PLTS,SAS_EGSE

     2019.02.28

     다목적실용위성6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GK-2 OLTS_EGSE

     2017.06.30

     정지궤도복합위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GK-2 UMTS,SAS_EGSE

     2017.03.31

     정지궤도복합위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6 SAR_EGSE

     2016.12.31

     다목적실용위성6호


    LIG넥스원

     

    GK-2 RFTS_EGSE

     2016.10.31

     정지궤도복합위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 핵심기술 탑재체

     2016.05.31

     차세대소형위성 탑재체


    KAIST

     

    -위성본체 체계설계 분야(Satellite Bus System Design)


    당사와 합병한 에이피우주항공은 2010년 3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다목적실용위성 3A호(KOMPSAT-3A)의 본체 개발 주관업체로 선정되어, 저궤도 실용급 위성의 체계 설계 기술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이전을 받았습니다. 


    당사는 기술이전을 통해 확보한 위성 체계 설계 기술을 활용하여 향후 국내 위성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실용위성 제작 전문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당사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실용급 위성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사양

     

    임무

     PAN/IR 카메라를 탑재한 저궤도 지구 관측위성

     

    궤도

     530km 태양동기궤도

     

    무게

     1,000kg 내외

     

    전력

     1.4kW 내외

     

    임무수명

     4년

     

    구성요소

     구조체, 전력계, 원격측정명령계, 자세제어계, 열제어계, 추진계, 비행소프트웨어, 탑재체

     

    -위성 고속자료처리장치 분야(PDHU: Payload Data Handling Unit)


    위성 고속자료처리장치는 위성에 탑재된 관측센서(EO: Electro Optic, IR: Infra Red, SAR: Synthetic Aperture Radar)로부터 입력되는 고속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저장하고, 암호화/부호화 처리를 하여 지상국으로 전송하는 탑재체 핵심장치입니다. 당사는 국내의 다목적실용위성 3호/3A호(KOMPSAT-3, KOMPSAT-3A)사업에 참여하여 탑재체의 핵심 부분품인 고속자료처리장치의 국산화를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국책과제 수행을 통해 차기 위성에 적용 가능한 고속자료처리장치를 개발하였습니다.


    개발에 참여한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개요

     실용급 위성의 탑재체 핵심장치인 영상 압축/저장/암호화/부호화 장치인 고속자료처리장치의 비행모델 설계/제작

     

    주요업무

     * 5~10Giga급 고속 데이터 입력/640Mbps~1.2Gbps급 데이터 출력 * 인터페이스 설계


    * DWT/BPE 기반의 압축 모듈 설계


    * 512Gbits~1Tbits급 저장용량 설계


    * 3-DES 기반의 암호화 모듈 설계


    * 탑재체 서브시스템의 열/구조 해석 및 기구 부분품 설계/제작


    * 고신뢰성 보장 H/W 설계/제작


    * 탑재체 서브시스템 설계 및 AIT

     

    주요실적

     * 2017년 5월~현재: 달탐사 시험용 궤도선 본체 전장품 개발

    * 2017년 4월~현재: KOMPSAT-7 탑재체 기기자료처리장치

    * 2014년 1월~현재: KOMPSAT-6 탑재체 데이터링크 개발


    * 2013년 6월~2016년 5월: NEXTSat-1 검증탑재체 개발


    * 2010년 1월~2012년 3월: KOMPSAT-3A IDHU FM 국산화


    * 2009년 9월~2012년 8월: 차세대 우주용 고속자료처리장치 개발 과제 수행


    * 2007년 7월~2010년 10월: KOMPSAT-3 IDHU TVM 개발


    * 2007년 7월~2010년 7월: KOMPSAT-3 IDHU FM AIT 국산화

     

    -표준형 위성 탑재컴퓨터 분야(Standard OBC)


    위성탑재컴퓨터(OBC: On-Board Computer)는 위성을 운용하는 비행 소프트웨어의 동작 플랫폼을 제공하고, 위성을 제어하고, 위성체(BUS)와 탑재체(Payload)의 상태정보자료를 수집/저장하여 지상국에 전송하는 위성제어컴퓨터입니다. 과거의 우주사업에서는 저궤도위성, 정지궤도위성, 탐사위성, 착륙선 등에 필요한 OBC를 개별적으로 개발하였습니다. 하지만, 우주기술 선진국에서는 개발기간 단축, 개발 비용 절감, 개발 위험도 감소를 위해 OBC를 기능별로 모듈화 설계하고, 표준화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표준형 OBC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참여한 이 사업분야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개요

     실용급 위성의 고성능 탑재컴퓨터인 표준형 OBC(On Board Computer)의 비행모델 설계/제작

     

    주요업무

     * 최신의 LEON 프로세서를 적용한 표준형 탑재컴퓨터 플랫폼 설계


    * 차세대 On-board 표준 통신 네트워크 설계


    * 위성 탑재컴퓨터의 인터페이스 표준화


    * 다중 인터페이스 지원 통신 칩 개발


    * 확장 편의성 제공을 위한 기능 보드의


    모듈화 설계


    * AMBA 버스를 이용한 기능 블록의 IP화 설계


    * 탑재컴퓨터의 열/구조 해석 및 기구 부분품 설계/제작


    * 고신뢰성 보장 H/W 설계


    * 탑재컴퓨터의 AI

     

    주요실적

     * 2016년 7월~현재: 차세대중형위성 1호/2호 표준탑재컴퓨터 개발


    * 2014년 12월 ~ 2016년 5월: NEXTSat-1 검증탑재체 개발


    * 2011년7월~2013년6월: 표준형 위성탑재컴퓨터 핵심모듈 개발 과제 수행

     

    -지상시험지원장비분야(EGSE: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


    지상시험지원장비는 위성 전자장치의 지상시험을 지원하는 장치로 시험하는 전자장치의 기능 및 성능을 측정하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 상의 결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당사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3A호(KOMPSAT-3, KOMPSAT-3A) 사업에 참여하여, 탑재체 주요 전자장치의 성능검증을 위한 EGSE를 국산화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현재 정지궤도복합위성(GEOKOMPSAT-2)과 다목적실용위성 6호(KOMPSAT-6)의 본체 EGSE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참여한 이 사업분야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개요

     위성전자장치의 지상시험을 지원하는 본체/탑재체 지상시험지원장치 개발

     

    주요업무

     * 위성탑재 전자장치의 운용성 시험/검증 GUI 개발


    * Telecommand & Telemetry 송신 및 수신/분석 기능 개발


    * 위성탑재 RF 장치의 기능 및 성능 검증 기능 개발


    * 위성 전자장치의 기능 검증 및 성능 측정, 설계 상의 결함 분석


    * 시험 데이터 저장 및 분석 기능 개발

     

    주요실적

     * 2015년 11월~현재: KOMPSAT-6 PLTS/CMTS/SAS 개발


    * 2015년 10월~현재: KOMPSAT-6 SISE/PISE 개발


    * 2014년 12월~현재: GEOKOMPSAT-2A/2B OLTS 개발


    * 2014년 10월~현재: GEOKOMPSAT-2A/2B UMTS & SAS 개발


    * 2013년 4월~현재: GEOKOMPSAT-2A/2B RFTS 개발


    * 2012년 12월~2014년 10월: KOMPSAT-3A LSTS 개발


    * 2010년 12월~2013년 12월: KOMPSAT-3A XDM EGSE 개발


    * 2010년 1월~2013년 12월: KOMPSAT-3A IDHU EGSE 개발


    * 2007년 7월~2010년 7월: KOMPSAT-3 IDHU TVM EGSE 개발


    * 2006년 1월~2009년 7월: KOMPSAT-3 XDM EGSE 개발

     

    -위성 AIT/품질인증 서비스 분야


    위성 AIT(Assembly, Integration & Test) 서비스는 위성체에 부분품을 조립하고 시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위성체의 AIT는 위성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체의 기능 및 성능을 시험하고, 부분체들을 통합하여 위성체를 조립하고, 조립된 위성체의 기능 및 성능 시험을 수행하고, 우주환경시험을 수행하는 절차로 진행됩니다. 당사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 5호, 3A호(KOMPSAT-3, KOMPSAT-5, KOMPSAT-3A)의 AIT 업무를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정지궤도복합위성2호(GEOKOMPSAT-2A/B)와 다목적실용위성6호(KOMPSAT-6)의 전자통합시험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참여한 이 사업분야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개요

     위성체/부분품 레벨의 AIT 및 품질인증 서비스 제공

     

    주요업무

     * 시험 절차서 작성 및 시험 결과 관리


    * EGSE 운용


    * 시험장치 설계/제작/관리


    * 발사장 시험 지원


    * 초기 운영시험 지원

     

    주요실적

     * 2016년 4월~현재: KOMPSAT-6 전자통합시험 기술용역


    * 2016년 4월~현재: GEOKOMPSAT-2B 전자통합시험 기술용역


    * 2015년 4월~현재: GEOKOMPSAT-2A 전자통합시험 기술용역


    * 2011년 7월~2015년 3월: KOMPSAT-3A 위성기능시험 기술용역


    * 2007년 7월~ 2012년 5월: KOMPSAT-3 위성기능시험 기술용역


    * 2007년 7월~2013년 8월: KOMPSAT-5 위성기능시험 기술용역 

     

    나. 기타산업


    -차세대 항행감시 시스템(ADS-B) 분야


    ADS-B은 항공기의 위치, 고도, 속도 등의 정보를 자동 방송하는 기술 방식을 의미합니다. ADS-B는 방송할 때 조종사의 개입이 불필요하므로 ‘Automatic’이고 방송 서비스가 GPS와 같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 의존하기 때문에 ‘Dependent’이고 지상감시와 공중감시에 사용되므로 ‘Surveillance’입니다. 또한 데이터 링크는 항공기와 지상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수신기에 무선으로 방송되므로 ‘Broadcast’입니다. 항공기와 지상 시스템은 1초단위로 전송되는 ADS-B 위치 정보를 2가지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 항공 교통 업무 (ATS) 향상


    ◇ 조종사의 항공 교통 상황 인식 향상


    ADS-B 시스템은 항공기의 방송에 의한 air-to-ground/ground-to-ground 항공 감시를 수행하는 ADS-B OUT 기능과 항공기 조종사가 CDTI(cockpit display of traffic information)을 통하여 항공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ADS-B IN 기능을 포함합니다. 지상시스템은 ADS-B OUT 기능이 없는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TIS-B(traffic information surveillance-broadcasting)를 통하여 조종사에게 전달하여 ADS-B IN 기능을 수행합니다.


    ADS-B 지상 시스템은 ADS-B 신호를 지상에서 송수신하기 하기 위한 1090ES 지상 장비, UAT 지상 장비, ADS-B/TIS-B/FIS-B 서버와 모니터링 장비로 구성됩니다. 지상 장비는 ADS-B서버로 항공 감시 정보를 제공하고 TIS-B/FIS-B 서버로부터 항공 교통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ADS-B 탑재 장비는 주변 항공기와 지상 장비로 위치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조종사에게 CDTI을 통하여 주변 항공기의 정보를 현시하는 기능을 포함합니다.


    2. 주요 제품에 대한 사항


    (1)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천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매출품목 2017년 2016년 2015년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위성단말기 사업부문 제품 수출 17,295,354 57.6  18,766,374 75.4% 34,691,022 95.1% 

    내수 1,175,662 3.9  882,793 3.5% -   

    용역 수출 129,412 0.4  446,954 1.8% 1,758,781 4.8% 

    내수 824,041 2.7  932,962 3.7% -   

    상품 수출 -   -   -   

    내수 4,600 0.0  61,900 0.2% 17,800 0.0% 

    위성제조부문 용역 수출 -   -   -   

    내수 10,618,447 35.3  3,800,121 15.3% -   

    총합계 30,047,516 100.0  24,891,104 100.0% 36,467,603 100.0% 


    (2)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가 제조하는 주요 제품은 위성휴대폰으로 제품의 사양과 기능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제품단위 당 가격은 $300~$500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3.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1) 주요 원재료 매입현황


    (단위:천원) 

    품명 2017년

    (제7기) 2016년

    (제6기) 2015년

    (제5기) 

    매입액 비율 매입액 비율 매입액 비율 

    IC         2,178,664  15.7%         3,860,314  27.9% 5,448,765 37.9% 

    회로         8,454,479  61.1%         4,544,745  32.8% 3,233,088 22.5% 

    기구         1,211,859  8.8%         1,688,294  12.2% 2,489,850 17.3% 

    악세서리            597,687  4.3%           673,299  4.9% 2,039,700 14.2% 

    PCB            539,669  3.9%           452,157  3.3% 600,689 4.2% 

    포장            129,730  0.9%           270,765  2.0% 490,883 3.4% 

    장비            367,290  2.7%         2,254,042  16.3% - - 

    기타            362,021  2.6%           100,892  0.7% 75,947 0.5% 

    합계       13,841,399  100.00%       13,844,507  100.0% 14,378,924 100.0% 


    (2)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 

    당사는 원재료의 대부분을 다년간 지속적으로 거래한 매입처를 통해 거래한 매입처를 통해 매입하고 있어 매입가격이 안정화되어 있습니다. 


    (단위:원) 

    구분 2017년 2016년 2015년 

    SOC(IC Chip)                  6,607              6,692  6,306 

    Battery                  7,613              9,083  9,260 

    Travel charger                  4,540              4,692  4,649 

    SAT ANT(안테나)                       -            11,077  13,396 

    MAIN PCB                  8,133              4,358  6,001 


    주1) 방산용 Main PCB를 소량으로 구입하여 Main PCB의 평균 단가가 상승하였습니다.


    (3) 주요 매입처


    (단위 : 천원) 

    매입처 2017년 2016년 2015년 

    협성공업              852,083  696,569        1,277,138 

     

    시리얼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코리아    2,285 841,914        1,366,531 

     

    유비파워                         -  166,802        1,126,325 

     

    엠플러스              175,903  

     

     

    유니트론텍              133,625  9,738             6,969 

     

    Maxtena, Inc                       -  416,520          685,565 

     

    Gillanix Corporation              345,604  400,258          715,855 

     

    주식회사 싸이택              408,840  - - 

    (주)아이앤씨            2,491,284 - - 

    Avnet Asia Pte Ltd.            1,223,016 - - 

    (주)내셔널칩스            1,579,112 - - 

    기타            6,629,647 11,312,706        9,200,539 

     

    합계          13,841,399   13,844,507       14,378,924 

     

    (4) 매입처와의 특수관계 여부

    당사는 사업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당사는 제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 중심의 기업으로 자체 생산설비를 갖추지 않고 외주생산을 하고 있으며, 제품의 개발 및 설계에서 주요 원자재의 구매, 생산, 품질검사 및 출하까지 각 공정별로 발생되는 핵심사항에 대해 당사가 직접 관여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외주업체의 생산능력 및 2016년 기준 생산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대) 

    제품명

     구분

     작업시간

     일간 생산수량

     연간생산수량

     생산수량

     

    위성휴대폰

     SMT

     20hr

     1,000

     276,000

     108,994

     

    조립, Test & 포장

     8hr

     800

     220,800

     

    ※ SMT (surface mount technology) 


    :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직접 실장할 수 있는 표면실장부품(surface mounted components, SMC)을 전자회로에 부착시키는 방법



    (2) 생산설비


    당사는 연구개발을 위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에이피우주항공과의 합병을 통해 추가로 보유하고 있는 설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시설

     규격

     수량

     용도

     보유


    기관

     확보


    방안

     

    Clean Room 

     면적: 17m x 8m 


    청정도: 10,000 class 


    온도: 22±2°C 


    습도: 50±5% 

     1 

     위성전자장치 조립 및 시험 

     AP 

     기보유

     

    조립장 

     면적: 17m x 9m 

     1 

     EGSE/Harness 제작

     AP 

     기보유

     

    수입검사실

     면적: 6m x 3m 

     1 

     입고 및 보드 검사

     AP 

     기보유

     

    SMT 시설 

     Vapor Phase Reflow 

     1 

     SMD 부품 조립

     EOSI 

     기보유 &


    시설임차 

     

    Rework Machine 

     Auto Rework Machine 

     1 

     BGA & CCGA type FPGA 교체 

     AP 

     기보유 

     

    열충격기 

     내용적: 600x500x450 


    온도: -40~85℃ 

     1 

     위성전자장치 열충격시험 

     AP 

     기보유

     

    항온항습기 

     항온항습기 


    내용적: 500x500x600 


    온도: -50~150℃ 


    습도: 25~98% 

     2 

     위성전자장치 열충격시험 및 Baking 

     AP 

     기보유

     

    충격 시험기 

     CAS500 환경시험 요구규격 만족

     1 

     위성전자장치 충격시험 

     KARI 

     임차 

     

    진동시험기

     CAS500 환경시험 요구규격 만족

     1 

     위성전자장치 진동시험

     KARI


    DTNC 

     임차

     

    열진공 시험기

     CAS500 환경시험 요구규격 만족

     1 

     위성전자장치 열진공시험

     KARI


    Satrec 

     임차

     

    전자파적합성 시험 시설 

     CAS500 환경시험 요구규격 만족

     1 

     위성전자장치 전자파적합성 시험

     KARI


    COMERI 

     임차


    5. 매출에 관한 사항


    (1) 품목별 매출 현황


    (단위 : 천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매출품목 2017년 2016년 2015년 

    위성단말기 사업부문 제품 수출 17,295,354 18,766,374 34,691,022 

    내수 1,175,662 882,793 - 

    용역 수출 129,412 446,954 1,758,781 

    내수 824,041 932,962 - 

    상품 수출 - - - 

    내수 4,600 61,900 17,800 

    위성제조부문 용역 수출 - - - 

    내수 10,618,447 3,800,121 - 

    총합계 30,047,516 24,891,104 36,467,603 


    (2)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당사의 매출은 국내 매출의 경우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으며, 수출의 경우 위성통신사업자에 직접 공급되고 있습니다. 


    에이피우주항공과의 합병 이후 위성사업부문의 매출은 전부 국내 매출이며, 대부분이 항공우주연구원에 개발용역으로 수행되어짐으로서 발생하는 매출입니다. 항공우주연구원을 제외한 매출처로는 미래창조과학부, KAIST, LIG 넥스원 등이 있습니다.


    2) 판매전략

    에이피우주항공과의 합병 이후 위성사업부문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발표한 우주과학중장기 계획에 따라 인공위성의 국산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기존 용역을 수행하여 획득한 기술을 통해 인공위성 분야에 있어서는 선두적인 기업으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6.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의 거래가 없습니다.


    7. 경영상의 주요 계약


    계약 상대방

     계약 체결시기

     계약기간

     계약의 목적 및 내용

     계약금액

     계약상 주요내용

     비 고

     

    엘림전자산업㈜ 

     2013.6.7

     2013.6.7~


    2017.6.30

     임가공 거래 계약

     XT : 13,000/대, 

    SatSleeve : 15,500/대

     제품 임가공 용역

     매입

     

    THURAYA Telecommunications Company 2015.12.11 2015.12.11~2017.1.11 개발용역 US$1,225,000 개발용역 매출 

    Aviacomm Inc.

     2014.8.12

     2014.8.12~


    2015.6.12

    (또는 개발완료시)

     The Development and Supply Agreement

     US$600,000

     Narrow-band RF Transceiver IC 개발

     매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4.12.12 2014.12.12~2017.06.30 프로젝트196 2,492,000,000  정지궤도 복합위성 부품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5.04.01 2015.04.01~2018.12.31 프로젝트199 2,300,000,000  정지궤도복합위성 기술용역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5.11.30 2015.11.30~2019.02.28 프로젝트204 2,044,000,000  다목적실용위성 지상지원 등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04.01 2016.04.01~2019.04.30 프로젝트205 1,045,000,000  정지궤도복합위성 기술용역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04.01 2016.04.01~2019.12.31 프로젝트206 1,400,000,000  다목적실용위성 기술용역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산업㈜ 2016.07.01 2016.07.01~2019.03.31 프로젝트207 9,300,000,000  차세대중형위성 부분품 매출 

    미공개 2017.02.24 2017.02.24~2018.07.24 위성통신단말기공급계약 US$5,996,550 차세대 위성휴대폰 매출 

    (주)미루시스템즈 2017.04.03 2017.04.03~2017.08.04 장비개발및공급계약서 6,151,750,000 위성통신단말기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4.25 2017.04.06~2021.12.31 위성 탑재체 개발 납품 15,494,000,000 다목적실용위성7호 탑재체 개발 납품 매출 

    DSI Aerospace Technologie GmbH 2017.4.25 2017.4.25

    ~2019.12.25 DCM & DSM 미공개 다목적실용위성 7호 탑재체 부품 매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5.12 2017.5.12

    ~2018.12.31 달 탐사선 부품 17,400,000,000 시험용달 궤도선 본체 전장품 설계 매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11.1 2017.11.1~2020.12.31 소형검증위성 미공개 국산화된 소형위성의 설계/제작/검증  매출 


    8.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의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은 당사의 개발본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개발본부는 오대일 부사장을 비롯해 49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만, 에이피우주항공과의 합병을 통해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으며, 인원수도 49명에서 85명으로 증가하였고, 본 보고서 작성일 기준으로 당사의 개발본부 조직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연구소_조직도 

    연구소_조직도

     



    (2) 연구개발비용


    (단위: 천원) 

    구분 2017년(제7기) 2016년(제6기) 2015년(제5기) 

    자산처리 원재료비 - - - 

    인건비 - - - 

    감가상각비 - - - 

    위탁용역비 - - - 

    기타 경비 - - - 

    소 계 - - - 

    비용처리 제조원가 제조 - - - 

    연구소 - - - 

    소계 - - - 

    판관비 1,343,802 3,611,462 4,427,829 

    합 계

    (매출액 대비 비율) 1,343,802 3,611,462 4,427,829 

    4% 21.3% 12.1% 


    다. 연구개발 실적

    (1) 사업명: 신규 모뎀 SOC 개발

    (2) 세부사항: 기존의 GMR1 사양의 SOC 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모델인 GMR1-3 사양의 신규 SOC 개발

    (3) 개발기간: 2016. 1 ~ 2017.12

    (4) 상품화 내용: XT-Pro, XT-Lite 등의 후속 모델에 탑재 


    9. 수주상황


     (단위 :원 ) 

    품목 수주

    일자 납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프로젝트196 2014.12.12 2017.06.30 - 2,492,000,000 - 222,659,837 - 0 

    프로젝트199 2015.04.01 2018.12.31 - 2,300,000,000 - 477,201,565 - 791,935,726 

    프로젝트204 2015.11.30 2019.02.28 - 2,044,000,000 - 360,035,654 - 332,739,530 

    프로젝트205 2016.04.01 2019.04.30 - 1,045,000,000 - 291,775,531 - 499,040,793 

    프로젝트206 2016.04.01 2019.12.31 - 1,400,000,000 - 345,464,052 - 741,116,768 

    프로젝트207 2016.07.01 2019.03.31 - 9,300,000,000 - 2,529,177,277 - 5,540,209,010 

    Link-K 2016.03.15 2017.11.15 - 1,083,386,258 - 0 - 0 

    M2M Asset tracker 2017.01.16 2017.11.13 - 604,432,000 - 0 -               604,432,000  

    C 프로젝트 2017.02.24 2018.07.24 - 6,782,098,050 - 2,111,072,758 - 4,671,025,292 

    위성통신단말기(I프로젝트) 2017.04.03 2017.08.04 - 6,151,750,000 - 5,892,700,000 - 0 

    다목적실용위성7호 탑재체 2017.04.25 2021.12.31 - 15,494,000,000 - 749,789,897 - 13,335,664,648 

    달탐사 시험용 궤도선 전장품 2017.5.12 2018.12.31   17,400,000,000   1,708,765,566   14,109,416,252 

    합 계 

     66,096,666,308 

     14,688,642,137 

     40,625,580,019 


    주1) 상기 표의 기납품금액은 2017.1.1~2017.12.31까지 해당품목으로 납품된 금액으로 당기(제7기) 이전에 납품된 금액은 제외된 것입니다.